집단 탈북한 여종업원 문제를 놓고 한동안 잠잠하던 북한이 다시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연계하며 오는 8월로 합의한 상봉 행사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압박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여전히 여종업원들은 자유의사로 한국에 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여종업원 문제가 남북관계의 변수로 작용할지 관심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황혜경 기자!
북한이 구체적으로 어떤 주장을 편 건가요?
[기자]
북한의 대남선전용 매체인 '우리민족끼리'라는 웹사이트에 올라온 내용인데요.
우리민족끼리는 집단 탈북한 여종업원들의 송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물론 남북관계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여종업원 집단 탈북은 모략사건이라면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비롯한 현 정부 당국자들이 과거 보수정권의 죄악을 감싸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또 이 문제를 현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보여주는 시금석이라면서 여종업원들을 즉시 송환해 판문점 선언 이행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라고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또 다른 대외 선전매체 '메아리'도 여종업원 문제를 '집단 유인 납치' 사건이라면서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면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남북관계 전반에 장애가 조성될 수 있다며 같은 주장을 펼쳤습니다.
올해 남북관계 국면이 개선되면서 북한이 적십자사 등을 통해 여종업원 송환을 촉구한 적은 있어도, 이처럼 매체를 통해 공개적으로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집단 탈북 여종업원 사건을 직접 연계시키는 주장을 편 건 매우 이례적인데요.
지난 3일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 후보자의 생사확인 의뢰서를 교환하고, 닷새 뒤 생사확인 회보서를 주고 받기로 한 상황에서 이 같은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를 보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여전히 종업원들은 자유의사에 따라 한국으로 왔다는 입장이라고요?
[기자]
통일부를 비롯한 정부는 집단 탈북한 여종업원 12명이 자유의사로 한국에 왔다는 점, 그리고 그 의사에 반해 북한으로 돌려보낼 계획은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통일부는 오늘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선전매체 보도에 대해 특별히 언급할 만한 내용이 없다면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내용이라는 점을 재차 ...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80720114058229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