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dom Video

9·19 합의 '족쇄’ 풀린 K9 자주포, 7년 만에 서해서 불뿜었다…北, 사흘 연속 오물풍선 부양

2024-06-26 3,419 Dailymotion

군 당국이 26일 연평도·백령도 등 서북도서 일대에서 7년 만에 대규모 포병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정부는 북한 오물풍선 도발에 대응해 9·19 남북 군사합의 효력을 모두 중지한 데 따라 전방 지역 실사격 훈련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군 당국에 따르면 서해 접적 지역을 방어하는 해병대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는 연평도·백령도 등 서북도서 일대에서 K9 자주포 40여대 등을 동원한 포사격 훈련을 진행했다. 천무 다연장 로켓,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 등도 동원, 약 1시간에 걸쳐 총 290여 발을 쐈다고 해병대는 전했다. K9 자주포와 천무는 해상 특정구역을, 스파이크는 해상에 띄워둔 모의 표적을 겨냥해 사격하는 방식이었다.
 
이 같은 훈련이 실시된 건 2017년 8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 1월 북한이 200여 발의 해안포 사격 도발을 하자 북측 수역을 향해 400발의 대응 사격을 한 적은 있지만, 북한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군의 계획에 따른 실사격 훈련은 지난 7년간 없었다.
 
이는 2018년 9·19 군사합의에서 서북 도서를 포함한 서해 완충 수역에서 포 사격을 하지 않기로 한 데 따른 조치였다. 군은 서북도서 해상훈련을 전면 중단하고 최소 단위의 육지 훈련만 진행했다.  
 
합동참모본부 예규에는 사격거리에 따라 훈련을 A(사격거리 18㎞ 이상)ㆍB(5~18㎞)ㆍC(5㎞ 이하)로 구분하는데 9·19 합의에 의해 해당 수역에서 AㆍB 수준의 훈련은 불가능하다고 군 당국은 판단했다. K9, 천무 다연장 로켓, 스파이크 미사일 등 훈련이 이에 해당한다. 이밖에 K6 중기관총, 해상 벌컨포 등 기관총급 무기로 하는 C 수준의...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9175?cloc=dailymotion